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rpm yum dpkg apt 패키지 관리

 

rpm (레드헷 계열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옵션 설명
-i (--install) 설치 관련 옵션
v(verbose) : 설치 시 상세 내용을 함께 출력
h(hash marks) : 설치 시 progress를 #로 표시
--nodeps : 의존성을 무시하고 설치 진행
--replacepkgs : 기존 설치된 동일 패키지가 있다면 패키지 교체
--force : 강제로 설치 진행
-U (--upgrade) 업그레이드 관련 옵션
-e (--erase) 삭제 관련 옵션
-q (--query) 패키지 정보 확인 옵션
a : 시스템에 설치된 전체 패키지 정보 확인 $rpm -qa
i :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 확인 $ rpm -qi vi
lp : rpm 파일의 설치 파일 경로 확인
R : 설치된 패키지 의존성 확인
Rp : rpm 파일의 의존성 확인

 

yum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이자 소프트웨어와 같은 패키지 설치/ 삭제 도구입니다.

옵션 설명
search 키워드로 시작하는 패키지 검색
remove 패키지 삭제
install 패키지 설치
list 서버에 있는 패키지 리스트 출력
update 패키지 업데이트
upgrade 패키지 업그레이드

 

dpkg

데이안 패키지 설치 / 삭제 도구입니다.

옵션 설명
-l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L <패키지명> 해당 패키지로부터 설치된 모든 파일목록 확인
-C <.deb 파일> 해당 .deb 파일이 설치한 파일의 목록 확인
-r <패키지명> 해당 패키지 삭제
-i <.deb 파일> 해당 파일 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apt (apt-get)

apt은 우분투의 고급 패키징 도구입니다.

옵션 설명
apt-get update 등록한 저장소 내 전체 패키지 인덱스 업데이트
apt-get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설치
apt-get remove <패키지명> 패키지 삭제
apt-cache search <패키지명> 패키지 검색
apt-get update 패키지 업그레이드

 

관련 문제

2020년 2회 rpm 파일을 설치하기 전에 어떠한 파일들이 설치 되는지 미리 확인해보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4
1. -qlf
2. -qlr
3. -qlc
4. -qlp

2020년 2회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yum -f telnet
2. yum search telnet
3. yum -search telnet
4. yum --search telnet

2020년 1회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server라는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1. yum erase telnet-server
2. yum delete telnet-server
3. yum -e telnet-server
4. yum -d telnet-server


2019년 2회 다음 중 온라인 기반 패키지 관리 기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1. yum
2. yast
3. apt-get
4. zypper

2019년 1회 오류 확인을 위해 해당 패키지 파일이 설치하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rpm ( 괄호 ) nmap-5.51.6.el6.i386.rpm
1. -qlp
2. -qfp
3. -qdp
4. -qcp

2019년 1회 yum을 이용해서 텔넷 서버 패키지를 검색한 후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 및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3
# yum ( ㉠ ) telnet
# yum ( ㉡ ) telnet-server
1. ㉠ info ㉡ search
2. ㉠ search ㉡ info
3. ㉠ search ㉡ install
4. ㉠ info ㉡ install

2019년 1회 다음 중 데비안 패키지 관리 기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2
1. dselect
2. zypper
3. synaptic
4. aptitude

2018년 2회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sever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4
1. yum erase telnet-server
2. yum eliminate telnet-server
3. yum delete telnet-server
4. yum remove telnet-server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crontab - 시간 기반 잡 스케줄러

 

crontab 이란?

 

컴퓨터 운영 체제의 시간 기반 잡 스케줄러입니다. 소프트웨어 환경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작업을 고정된 시간, 날짜, 간격에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해 cron을 사용합니다.

 

crontab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crontab -e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 보기
crontab -l crontab 편집
crontab -r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 모두 삭제
crontab -u [user] 사용자 지정

 

crontab 주기 설정

*  *  *  *  *  command
순서 내용
1 0-59 or *
2 시간 0-23 or *
3 1-31 or *
4 1-12 or *
5 요일 0-7 or *    [0 : sunday]
6 명령어 실행할 명령

 

관련 문제

2020년 2회 다음 중 1시간 주기로 실행되는 crontab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1
1. 1 * * * * /etc/joon.sh
2. * 1 * * * /etc/joon.sh
3. * * 1 * * /etc/joon.sh
4. * * * 1 * /etc/joon.sh

2020년 2회 다음 중 root 사용자가 lin 사용자의 예약된 cron 작업을 제거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3
1. crontab -d -u lin
2. crontab -e -u lin
3. crontab -r -u lin
4. crontab -x –u lin

 

2020년 1회 다음 중 10분 주기로 실행되는 crontab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1
1. */10 * * * * /etc/lin.sh
2. * */10 * * * /etc/lin.sh
3. * * */10 * * /etc/lin.sh
4. * * * */10 * /etc/lin.sh

 

2019년 2회 다음 중 월, 수, 금요일 오전 4시 1분에 실행되는 crontab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2
1. 4 1 * * 1,3,5 /etc/lin.sh
2. 1 4 * * 1,3,5 /etc/lin.sh
3. 4 1 1,3,5 * * /etc/lin.sh
4. 1 4 1,3,5 * * /etc/lin.sh

 

2019년 1회 다음 중 1주일에 3회 실행되는 crontab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4
1. 1,3,5 0 * * 0 /etc/work.sh
2. 0 1,3,5 * * 0 /etc/work.sh
3. 0 * * 1,3,5 0 /etc/work.sh
4. 0 0 * * 1,3,5 /etc/work.sh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OSI 7 계층

 

 

 

참고 : http://blog.skby.net/osi-7-layer/

 

OSI 7 Layer > 도리의 디지털라이프

I. OSI 7 Layer의 개요 가. OSI 7 Layer의 정의 네트워크 통신 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국제 표준기구(ISO)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 (ISO 7498) TCP/IP와

blog.skby.net

 

  • 1계증 물리계층 :  기계적, 전기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하며 비트 스트림을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송합니다.
  •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 링크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하며, 동기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등을 제공합니다.
  •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  경로 제어를 수행합니다.
  • 4계층인 전송계층 :  종단 간의 신회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오류 제어, 통신량 제어, 다중화 등을 제공합니다
  • 5계층인 세션계층 : 세션 연결 및 동기화 수행하고 통신 방식을 결정합니다.
  • 6계층인 표현계층 : 포맷기능이 있고, 압축 및 암호화를 수행합니다. 
  • 7계층인 응용계층 : 사용자에게 최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라우터 :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입니다. 

 

관련 문제 

 

2020년 2차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OSI 7 계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2

- 이 계층은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계층은 패킷을 죄종 수신 측까지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경로를 담당한다. 즉 송신 호스트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중개 시스템을 거치는데,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2020년 2차 다음에서 설명하는 장치의 이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 자신과 연결된 네트워크 및 호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해야 하며, 어떤 경로를 이용해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장치

1. Router
2. Bridge
3. Gateway
4. Repeater

 

2020년 1차 다음 중 TCP 와 UDP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TCP 와 UDP는 둘 다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UDP는 3-way handshaking이라는 방식으로 세션을 연결한다.
3. TCP는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을 요구하는 역할을 한다.
4. UDP는 시스템 내부 메시지 및 소규모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고, DNS에서 많이 사용한다.

 

2020년 1차 다음 중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프로토콜의 주요 제정기관으로는 ISO, IEEE, EIA, ITU-T 등이 있다.
2. OSI 7계층 중 인터넷 계층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ICMP, ARP, IMAP 등이 있다.
3. 프로토콜의 3가지 구성요소는 순서(Timing),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이다.
4. 프로토콜의 주요 기능으로는 캡슐화, 단편화와 재조합, 멀티 플렉싱, 흐름제어, 동기화 등이 있다.

 

2019년 2차 DoS공격중 하나인 Ping of Death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방화벽에서 특정 프로토콜을 차단하는 보안 정책을 적용하려고 한다. 다음 중 차단해야 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4
1. FTP
2. ARP
3. DNS
4. ICMP

 

2019년 2차 다음 중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ISO, ANSI, ITU-T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제정 기관이다.
2. 프로토콜의 기능으로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캡슐화 등이 있다.
3. 프로토콜은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는 ISO에서 제정하였다.

 

2019년 1차 다음 중 OSI 7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물리 계층은 상위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물리적인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단위를 바이트(bytes) 형태로 전송한다.
2. 전송 계층은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connection) 기능을 제공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3.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패킷(packet)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4. 데이터링크 계층은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프레임(frame)이라는 논리적인 단위로 구성하고 필요한 정보를 덧붙여 물리 계층으로 전달한다.

 

2018년 2차 다음 중 OSI 7 계층의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 순으로 사용하는 전송 단위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①bit-frame-packet-segment-data
②bit-frame-segment-packet-data
③data-segment-packet-frame-bit
④data-packet-segment-frame-bit

 

2018년 1차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OSI 7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3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동기화를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데이터의 전송 순서및 동기점의 위치를 제공하여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발생할 경우에 재전송하거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①네트워크 계층
②전송 계층
③세션 계층
④표현 계층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RAID 종류

 

자료 출처 : https://slic.tistory.com/151

https://commons.wikimedia.org/

 

많이 쓰이는 RAID

관련글 1. 많이 쓰이는 RAID 2. 지인의 컴퓨터 수리를 요청 받으셨나요? 3. 만일 MAC address가 같은 컴퓨터가 2대 있다면 어떻게 될까? JBOD(Just a Bunch Of Disks) JBOD로 구성된 디스크는 데이터를 순차적으..

slic.tistory.com

 

RAID 0 (Stripe)

- 2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됩니다. 

-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지만, 중복 저장은 하지 않기에 디스크 장애 발생 시 복구될 수 없습니다. 

 

RAID 1(Mirroring)

-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완전히 복사하여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 디스크 장애 발생 시에 복구가 가능하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RAID 2(Hamming Code ECC)

- Hamming Code를 이용하여 오류를 복구합니다. 

- 별도의 디스크에 복구를 위한 ECC(Error Correction Code)를 저장합니다. 

 

RAID 3(Parity ECC)

- Parity 정보를 별도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 1개의 디스크에 장애 발생 시 Parity를 통해 복구가 가능합니다.

- Parity 계산을 해야하며, 별도 디스크에 Parity를 저장해야하기 때문에 Write 성능이 저하됩니다. 

 

 

RAID 4(Parity ECC)

- Parity 정보를 별도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 데이터는 데이터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합니다. 

- 한 개의 디스크에 장애 발생 시에 Parity를 통해 복구가 가능합니다. 

- RAID 3과 통일하나 Parity를 Block 단위로 관리하는 부분에 차이가 있습니다. 

 

RAID 5

- Parity를 분산하여 데이터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버전입니다. 

- 최소한 3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해야 합니다.

 

RAID 6

- 분산 Parity가 적용된 RAID 5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Parity를 여러개로 나누어 저장합니다. 

- 장애가 여러 디스크에 발생되더라도 정상동작이 됩니다. 

 

RAID 10 (1 + 0)

- 하드디스크 4개를 이용해서 디스크 2개를 먼저 미러링으로 구성하고, 다시 스트라이핑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형태입니다.

관련 문제

2020년 2회 6개의 하드디스크로 RAID를 구성하려고 한다. 1개는 여분(spare) 디스크로 구성하고, 나머지 디스크로 RAID-5을 구성했을 경우에 실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의 비율로 가장 알맞은 것은? 3
1. 33.3%

2. 50%
3. 66.7%

4. 83.3%

2020년 1회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4

- 하드디스크 4개를 이용해서 디스크 2개를 먼저 미러링으로 구성하고 다시 스트라이핑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형태
1. RAID-5

2. RAID-6
3. RAID-9

4. RAID-10


2019년 1회 다음 중 6개의 하드디스크로 여분(spare)없이 RAID-6를 구성하는 경우, 실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의 비율로 가장 알맞은 것은? 3
1. 33.3%

2. 50%
3. 66.7%

4. 83.3%



2018년 2회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 )은 RAID-0의 단점인 결합 허용을 지원하지 않는 점과 RAID-1의 저장 공간의 비효율성을 보완한 레벨로 디스크의 개수를 늘릴수록 저장공간의 효율성이 좋아진다. ( ㉡ )은 2개의 패리티를 사용하여 2개의 디스크 오류에도 데이터를 읽을 수 있고 최소 4개의 디스크로 구성해야 한다.
1. ㉠ RAID-3 ㉡ RAID-4
2. ㉠ RAID-5 ㉡ RAID-6
3. ㉠ RAID-7 ㉡ RAID-8
4. ㉠ RAID-9 ㉡ RAID-10

2018년 1회 다음 중 RAID-6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3
1.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해야 한다.
2. 2개의 디스크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복구할 수 없다.
3. 200GB 하드디스크 8개를 RAID-6로 구성할경우 가용 공간은 1.2TB이다.
4.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처리 속도도 빠르고,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도 높다.

2017년 2회 다음 중 10GB 용량의 하드디스크 4개를 이용해서 RAID-5를 구성했을 경우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알맞은 것은? 2
1. 40GB
2. 30GB
3. 26.4GB
4. 20GB

2017년 1회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RAID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3
- 순환식 패리티 어레이를 포함한다.
 - 3개 이상의 디스크 어레이를 요구한다.
 - 쓰기 작업이 많지 않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 패리티는 중복 저장하지 않는다.
1. RAID-0
2. RAID-1
3. RAID-5
4. RAID-6

2016년 2회 4개의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아래의 상황에 맞게 디스크를 구성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 물리적인 디스크의 오류를 2개까지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ㄴ : 분할된 파티션의 용량을 손쉽게 증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1. ㉠ RAID-6 ㉡ LVM
2. ㉠ RAID-5 ㉡ RAID-6
3. ㉠ LVM ㉡ RAID-5
4. ㉠ LVM ㉡ RAID-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