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리눅스 사운드 아키텍처(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리눅스 커널의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으로 합니다.
- alsactl - 사운드카드를 제어하는 명령하는 명령입니다.
OSS
오픈 사운드 시스템(Open Sound System, OSS)은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의 사운드를 만들고 캡처하는 인터페이입니다.
관련 문제
2019년 2회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 리눅스 및 유닉스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콜(POSIX read, write, ioctl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1. OSS 2. CUPS 3. SANE 4. ALSA
2019년 1회 다음 중 사운드카드를 제어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3 1. oss 2. xsane 3. alsactl 4. cdparanoia
2018년 2회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운드 카드용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alsamixer는 오디오CD에서 wav파일로 추출 하거나 재생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2. ALSA는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3. OSS는 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콜(POSIX read, write, ioctl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4. alsactl 명령은 ALSA 사운드 카드를 초기화 하거나 정보를 환경설정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2018년 1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리눅스 커뮤니티에서는 사운드 카드용 장치 드라이버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는 ( ㉠ )를 사용했으나 라이선스 문제 등으로 인해 현재는 ( ㉡ )를 사용한다. ---------- 1. ㉠ ALSA ㉡ OSS/Free 2. ㉠ OSS/Free ㉡ ALSA 3. ㉠ sane ㉡ xsane 4. ㉠ xsane ㉡ sane
- 커널링버퍼(kernel ring buffer)의 내용을 출력하고 제어 -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었던 로그 기록
dmesg
관련 문제
2020년 2회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로그 관련 주요 파일로 알맞은 것은? 2 - 콘솔, telnet, ftp 등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 가록, 시스템을 재부팅한 기록 등의 로그가 쌓이는 파일이다. 바이너리 파일로 last라는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1. /var/log/btmp 2. /var/log/wtmp 3. /var/log/lastlog 4. /var/log/messages
2020년 2회 다음 중 dmesg 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2 1. 커널 변수의 값을 제어하여 시스템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명령이다. 2. 커널링버퍼(kernel ring buffer)의 내용을 출력하고 제어하는 명령이다. 3. /var/log/dmesg 파일에 기록된 환경 변수 설정 값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4. 커널 부트 메시지 로그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실행 시 /var/log/dmesg 에 기록된다.
2020년 1회 다음 중 ASCII 형태의 로그 파일로 알맞은 것은? 4 1. /var/log/btmp 2. /var/log/wtmp 3. /var/log/lastlog 4. /var/log/xferlog
2020년 1회 다음 중 로그 관련 파일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3 1. /var/log/wtmp : 콘솔, ftp 등 접속이 실패한 경우 기록 2. /var/log/lastlog : 부팅 시 동작하는 데몬 관련 정보 기록 3. /var/log/dmesg :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었던 로그 기록 4. /var/log/boot.log : telnet이나 ssh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의 마지막 정보를 기록
2019년 2회 로그 로테이트 설정 시 허가권은 0755, 소유자는 system, 소유그룹은 admin 으로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3
1. ㉠ : system ㉡ : admin ㉢ : 0755 2. ㉠ : admin ㉡ : system ㉢ : 0755 3. ㉠ : 0755 ㉡ : system ㉢ : admin 4. ㉠ : 0755 ㉡ : admin ㉢ : system
2019년 2회 다음 중 rsyslog로 생성되는 로그의 저장 위치로 알맞은 것은? 2 1. /log 2. /var/log 3. /usr/log 4. /etc/rsyslog/log
2019년 1회 다음 중 로그 관련 파일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1. /var/log/xferlog : FTP 접속과 관련된 작업이기록된 파일 2. /var/log/lastlog :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었던 로그들이 기록된 파일 3. /var/log/wtmp : 콘솔, telnet, ftp 등으로 접속이실패한 경우가 기록된 파일 4. /var/log/btmp : 콘솔, telnet, ftp 등으로 접속한사용자 기록, 시스템을 재부팅한 기록 등의 로그가 쌓이는파일
2019년 1회 2일 전 로테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시스템에 ihd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시스템 일부를 수정하였다. 다음 중 ihd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틀린 것은? 3 1. last 2. last ihd 3. lastb ihd 4. lastlog -t 5
2019년 1회 다음 중 logrotate로 구현할 수 있는 작업으로 틀린 것은? 1 1. 30분마다 한 번씩 로그 로테이트를 수행한다. 2. 로그 크기가 250MB가 되면 로그 로테이트를 수행한다. 3. 로그 로테이트로 생성되는 백로그 파일을 3개로 제한한다. 4. 로그 로테이트가 된 후 “/usr/bin/killall‐HUP httpd” 명령을 실행한다.
2019년 1회 /var/log/messages 파일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표준 메시지가 쌓이는 파일로, 날짜 및 시간, 메시지가 발생한 호스트명, 메시지를 발생한 내부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 발생된 메시지 순으로 기록된다. 다음 중 내부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과 발생된 메시지를 구분하는 기호로 알맞은 것은? 1 1. 콜론(:) 2. 콤마(,) 3. 파이프(|) 4. 세미콜론(;)
2019년 1회 iptables 명령의 '-j LOG' 옵션을 통해서 특정 호스트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도록 정책을 설정 하였다. 다음 중 관련 로그가 기록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4 1. /var/log/btmp 2. /var/log/secure 3. /var/log/iptables 4. /var/log/messages
2018년 2회 다음 중 vi 편집기를 사용하여 편집이 가능한 로그 파일로 알맞은 것은? 2 1. wtmp 2. secure 3. lastlog 4. btmp
2018년 2회 다음은 dhcpd.conf에서 syslog에 전달한 로그의 facility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 ( 괄호 ) localhost7; ---------- 1. log-facility 2. syslog-facility 3. log.facility 4. syslog.facility
2018년 1회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알맞은 것은? 2 ---------- 로그 기록과 관련된 리눅스 초기의 syslog를 대체하여성능을 대폭 강화한 패키지로 멀티 스레드 지원, TCP 프로토콜 지원, SSL 및 TLS지원, 데이터베이스로그 관리 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 1. asyslog 2. rsyslog 3. msyslog 4. vsyslog
2018년 1회 다음 설명에 알맞은 것은? 2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었던 로그가 기록되는파일로, 보통 커널 부트 메시지 로그라고 한다. 1. /var/log/secure 2. /var/log/dmesg 3. /var/log/lastlog 4. /var/log/wtmp
2018년 1회 다음 각 명령어와 관계있는 파일 연결이 틀린 것은? 1 1. last : /var/log/tmp 2. lastb : /var/log/btmp 3. lastlog : /var/log/lastlog 4. dmesg : /var/log/dmesg
2018년 1회 다음 중 로그 환경 설정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 *.=info;cron.none /var/log/messages authpriv.* /var/log/secure mail.*;mail.!=info /var/log/maillog uucp,news.crit /var/log/news ---------- 1. 인증 관련 로그를 /var/log/secure에 기록한다. 2. uucp 및 news에서 발생하는 crit 수준 이상메시지를 /var/log/news에 기록한다. 3. mail에서 발생하는 모든 메시지중 info 수준이아닌 것만 /var/log/maillog에 기록한다. 4. 모든 facility가 발생하는 메시지 중 info 수준메시지만 기록하는데 cron관련 메시지는 제외한다.
(/etc/modprobe.conf, /etc/modprobe.d : 부팅 시에 특정 모듈을 자동으로 적재할 때 사용됩니다.)
(-l : 모든 모듈 목록 출력, -r : 모듈 제거, -c : 모듈 관련 환경설정 파일 내용 출력)
- modinfo : 모듈의 정보를 조회합니다.
- insmod : 모듈을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 rmmod : 모듈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depmod : 모듈 간의 의존성이 기록된 파일의 정보를 갱신하는 명령어입니다.
(의존성이 변경되면 modules.dep 파일의 내용의 변경됩니다.)
관련 문제
2020년 2회 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모듈 관련 명령어로는 lsmod, insmod, rmmod가 있다. 2. 모듈이 커널에 내장되는 방식을 모놀리식 방식이라고 한다. 3. 리눅스 모듈의 경우 C컴파일러로 만들어진 ‘*.ko’ 파일 형태이다. 4. 사용 가능한 모듈은 /lib/modules/커널버전 /kernel 디렉터리 안에서 확인 할 수 있다.
2020년 1회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모듈 관련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3
1. lsmod
2. depmod 3. modinfo
4. modprobe
2020년 1회 다음 중 커널에 탑재되는 모듈 관련 디렉터리 경로로 알맞은 것은? 3 1. /lib/커널버전/modules/kernel 2. /lib/커널버전/kernel/modules 3. /lib/modules/커널버전/kernel 4. /lib/modules/kernel/커널버전
2020년 1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4 - 모듈간의 의존성이 변경되면 (㉠)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하며, 이 파일을 갱신하고 관리해주는 명령이 (㉡) 이다. 1. ㉠ modprobe.conf ㉡ modprobe 2. ㉠ modprobe.conf ㉡ depmod 3. ㉠ modules.dep ㉡ modprobe 4. ㉠ modules.dep ㉡ depmod
2020년 1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모듈 관련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 ( 괄호 ) | grep conntrack nf_conntract_ipv4 7406 6 iptable_nat,nf_nat nf_defrag_ipv4 1039 1 nf_conntrack_ipv4 1. lsmod 2. insmod 3. rmmod 4. modprobe
2019년 2회 다음은 e1000이라는 모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 괄호 ) e1000 1. insmod 2. rmmod 3. depmod 4. modprobe
2019년 2회 다음 중 모듈 간의 의존성이 기록된 파일의 정보를 갱신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insmod 2. depmod 3. modinfo 4. modprobe
tar [OPTION...] [FILE]... -f :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 -c : tar 아카이브 생성.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 -x :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 -v : 처리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나열. -z : gzip 압축 적용 옵션. -j : bzip2 압축 적용 옵션. -t :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 -C : 대상 디렉토리 경로 지정. -A : 지정된 파일을 tar 아카이브에 추가. -d : tar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 간 차이점 검색. -r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u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k : tar 아카이브 추출 시, 기존 파일 유지. -U : tar 아카이브 추출 전, 기존 파일 삭제. -w : 모든 진행 과정에 대해 확인 요청. (interactive) -e : 첫 번째 에러 발생 시 중지. -g <스냅샷 파일> : 증분 백업 -N <날짜> : 지정된 날짜 이후에 만들어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함 -V <볼륨명> : 볼륨명을 지정
관련 문제
2020년 2차 다음 중 다수의 텍스트 파일이 10MB 정도로 묶여있는 tar 파일을 압축하려고 할 때 가장 압축률이 좋은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1. xz
2. gzip 3. bzip2
4. compress
2019년 1차 tar 명령을 이용해 2019년 1월 1일 이후로 변경된 파일을 백업하려고 한다.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4 # tar -c -v ( ) ‘1 Jan 2019’ -f backup.tar /backup 1. -D 2. -H 3. -I 4. -N
2018년 2차 다음은 tar 명령을 이용해서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tar ( 괄호 ) -cvfp home.tar /home # tar ( 괄호 ) -cvfp home2.tar /home 1. -N list 2. -g list 3. -t list 4. -Ctar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