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모듈 관리 명령어 - lsmod, modprobe, modinfo

 

모듈 관리 명령어

- lsmod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듈 리스트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modprobe : 모듈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etc/modprobe.conf, /etc/modprobe.d : 부팅 시에 특정 모듈을 자동으로 적재할 때 사용됩니다.)

(-l : 모든 모듈 목록 출력, -r : 모듈 제거, -c : 모듈 관련 환경설정 파일 내용 출력)

- modinfo : 모듈의 정보를 조회합니다.

- insmod : 모듈을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 rmmod : 모듈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depmod : 모듈 간의 의존성이 기록된 파일의 정보를 갱신하는 명령어입니다.

(의존성이 변경되면 modules.dep 파일의 내용의 변경됩니다.)

 

 

관련 문제

2020년 2회 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모듈 관련 명령어로는 lsmod, insmod, rmmod가 있다.
2. 모듈이 커널에 내장되는 방식을 모놀리식 방식이라고 한다.
3. 리눅스 모듈의 경우 C컴파일러로 만들어진 ‘*.ko’ 파일 형태이다.
4. 사용 가능한 모듈은 /lib/modules/커널버전 /kernel 디렉터리 안에서 확인 할 수 있다.

2020년 1회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모듈 관련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3

1. lsmod

2. depmod
3. modinfo

4. modprobe

 

2020년 1회 다음 중 커널에 탑재되는 모듈 관련 디렉터리 경로로 알맞은 것은? 3
1. /lib/커널버전/modules/kernel
2. /lib/커널버전/kernel/modules
3. /lib/modules/커널버전/kernel
4. /lib/modules/kernel/커널버전

2020년 1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4
- 모듈간의 의존성이 변경되면 (㉠)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하며, 이 파일을 갱신하고 관리해주는 명령이 (㉡) 이다.
1. ㉠ modprobe.conf ㉡ modprobe
2. ㉠ modprobe.conf ㉡ depmod
3. ㉠ modules.dep ㉡ modprobe
4. ㉠ modules.dep ㉡ depmod

2020년 1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모듈 관련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 ( 괄호 ) | grep conntrack
nf_conntract_ipv4 7406 6 iptable_nat,nf_nat
nf_defrag_ipv4    1039 1 nf_conntrack_ipv4
1. lsmod
2. insmod
3. rmmod
4. modprobe

2019년 2회 다음은 e1000이라는 모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 괄호 ) e1000
1. insmod
2. rmmod
3. depmod
4. modprobe

2019년 2회 다음 중 모듈 간의 의존성이 기록된 파일의 정보를 갱신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insmod
2. depmod
3. modinfo
4. modprobe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tar 명령어 - 파일 압축 및 해제

 

tar 명령어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옵션

tar [OPTION...] [FILE]...
        -f     :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 
        -c     : tar 아카이브 생성.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 
        -x     :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 
        -v     : 처리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나열.
        -z     : gzip 압축 적용 옵션.
        -j     : bzip2 압축 적용 옵션.
        -t     :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
        -C     : 대상 디렉토리 경로 지정.
        -A     : 지정된 파일을 tar 아카이브에 추가.
        -d     : tar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 간 차이점 검색.
        -r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u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k     : tar 아카이브 추출 시, 기존 파일 유지.
        -U     : tar 아카이브 추출 전, 기존 파일 삭제.
        -w     : 모든 진행 과정에 대해 확인 요청. (interactive)
        -e     : 첫 번째 에러 발생 시 중지.
        -g <스냅샷 파일>   : 증분 백업
        -N <날짜> : 지정된 날짜 이후에 만들어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함
        -V <볼륨명> : 볼륨명을 지정

 

관련 문제

2020년 2차 다음 중 다수의 텍스트 파일이 10MB 정도로 묶여있는 tar 파일을 압축하려고 할 때 가장 압축률이 좋은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1. xz

2. gzip
3. bzip2

4. compress

2019년 1차 tar 명령을 이용해 2019년 1월 1일 이후로 변경된 파일을 백업하려고 한다.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4
# tar -c -v ( ) ‘1 Jan 2019’ -f backup.tar /backup
1. -D
2. -H
3. -I
4. -N

2018년 2차 다음은 tar 명령을 이용해서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
# tar ( 괄호 ) -cvfp home.tar /home
# tar ( 괄호 ) -cvfp home2.tar /home
1. -N list
2. -g list
3. -t list
4. -Ctar list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프린팅 시스템, 스캐너 - lp, lpr

 

프린터 제어 명령어

System V 계열 프린트 명령어

- lp : 프린터 디바이스 path를 사용하여 직접 인쇄할 수 있습니다. 

(-d : 다른 프린터 지정, -n : 인쇄 매수 지정)

- lpstat :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 cancel : 프린트 작업을 취소합니다. 

 

BSD 계열 프린트 명령어

- lpr :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P : 인쇄를 수행 할 프린터 지정. (프린터 명), -# : 인쇄 매수 지정 )

- lpq :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 lprm : 프린터 큐의 작업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 lpc : 프린터가 인쇄 가능 상태 인지 확인할 때 사용 합니다. 

 

CentOS 6 버전에서 X 윈도 기반의 프린터 설정 도구를 실행하는 명령

system-config-printer

 

프린터를 지원해주는 인쇄 시스템

- LPRng :  프린터 스풀링과 네트워크 프린터서버를 지원하며 프린터에 관련된 명령어로는 BSD, SystemV 계열 모두 지원합니다.

- CUPS : 애플이 오픈소스 프린팅 시스템으로 개발한 CUPS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BSD계열과 System V 계열 모두 사용가능하고 사용자 및 호스트 기반의 인증을 제공합니다. 로컬에 직접 연결한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처럼 설정이 가능합니다.

 

스캐너 제어 명령어

- scanadf : 자동 문서 공급 장치가 장착된 스캐너에서 스캔할 때 사용 하는 명령입니다.

- SANE : 평판 스캐너, 핸드 스캐너, 비디오 카메라 등 이미지를 스캐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에 대한 표준화된 액세서를 제공하는 API입니다.

 

관련 문제

2020년 2차 다음 중 프린트 작업의 ‘Request-ID’를 확인 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3
1. lp
2. lpc
3. lpstat
4. cancel

2020년 2차 다음 중 자동 문서 공급 장치가 장착된 스캐너에서 스캔할 때 사용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xcam
2. scanadf
3. scanimage
4. sane-find-scanner

2020년 2차 다음 중 CUPS 프린팅 시스템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3
1. 설정 정보는 /etc/printcap파일에 저장된다.
2. BSD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 로컬에 직접 연결한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처럼 설정이 가능하다.
4. 초기에는 printconf, printtool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설정을 하였다.

2020년 1차 다음 제시된 프린터 관련 명령어 중 나머지 셋과 비교해서 다른 계열로 속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lp
2. lpr
3. lpstat
4. cancel

2020년 1차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 평판 스캐너, 핸드 스캐너, 비디오 카메라 등 이미지를 스캐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에 대한 표준화된 액세서를 제공하는 API이다.
1. SANE
2. ALSA
3. DSSI
4. LADSPA

2020년 1차 다음 중 지정한 파일이 프린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작업을 요청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pr 
2. lpr
3. lpq
4. lpstat

2019년 2차 lin.txt라는 문서를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2장 출력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 ( 괄호 ) -# 2 -P lp lin.txt
1. lp
2. lpr
3. lpq
4. lpc

2019년 2차 다음 중 System V 계열에 속하는 프린터 관련 명령어로 틀린 것은? 2
1. lp
2. lpr
3. lpstat
4. cancel

2019년 1차 다음 중 프린터 관련 프로토콜인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가 사용하는 포트번호로 알맞은 것은? 2
1. 92
2. 631
3. 3096
4. 3396

2019년 1차 다음 중 CentOS 6 버전에서 X 윈도 기반의 프린터 설정 도구를 실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4
1. printconf
2. printtool
3. redhat-config-printer
4. system-config-printer

2019년 1차 다음 중 파일의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1. lp, lpr
2. lp, lpq
3. lpr, lpq
4. lpr, lpstat
 

2019년 1차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린팅 시스템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2
1. CUPS, ALSA
2. CUPS, LPRng
3. LPRng, ALSA
4. LPRng, SANE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 usermod, groupmod - 사용자 및 그룹 관리

 

usermod

사용자 계정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u : 유저번호(UID) 설정

-g : 그룹번호(GID) 설정
-G : 보조 그룹번호(GID) 설정
-d : 홈 디렉토리 설정
-s : 사용할 Shell 설정
-c : 계정에 대한 설명(Comment) 남김
-e : 계정에 대한 만기일 설정
-l : 계정명 변경

usermod -l lin joon    // joon이라는 아이디를 lin으로 변경

 

groupmod

그룹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g : 그룹번호 변경
-n : 그룹명 변경

groupmod -g 501 -n dbag dba            // 그룹번호를 501로 변경, 그룹명을 dba에서 dbag로 변경

 

관련 문제

2020년 2차 다음 중 ihd라는 그룹명을 kait로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groupmod -n ihd kait
2. groupmod -n kait ihd
3. groupmod -N ihd kait
4. groupmod -N kait ihd


2019년 2차 다음 중 ihduser 사용자의 계정만기일을 2020년 12월 31일로 지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3
1. usermod -i 2020-12-31 ihduser
2. usermod -I 2020-12-31 ihduser
3. usermod -e 2020-12-31 ihduser
4. usermod -f 2020-12-31 ihduser

2019년 2차 다음 중 joon이라는 아이디를 lin으로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2
1. usermod -l joon lin

2. usermod -l lin joon
3. usermod -n joon lin

4. usermod -n lin joon

2019년 1차 다음 명령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작업으로 알맞은 것은? 4
# usermod -L ihduser
1. /etc/passwd의 첫 번째 필드의 맨 앞에 !를 덧붙여서 로그인을 막는다.
2. /etc/passwd의 두 번째 필드의 맨 앞에 !를 덧붙여서 로그인을 막는다.
3. /etc/shadow의 첫 번째 필드의 맨 앞에 !를 덧붙여서 로그인을 막는다.
4. /etc/shadow의 두 번째 필드의 맨 앞에 !를 덧붙여서 로그인을 막는다.

2019년 1차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4
ihduser는 kait 그룹의 일원이다. 추가로 admin 그룹의 일원이 되도록 작업한다.
1. groupmod -n admin ihduser
2. groupmod -g admin ihduser
3. usermod -g admin ihduser
4. usermod -G admin ihdus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