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관리사 1급 / 네트워크일반 - 신호 변환

 

아날로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진폭 변조(AM : Amplitude Modulation) :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변조로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순간 진폭을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 

- 주파수 변조(FM : Frequency Modulation) : 전송하려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순간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

- 위상 변조(PM : Phase Modulation) : 전송하려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순간 위상을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 

 

아날로그 데이터 => 디지털 신호

- PCM(Pulse Code Modulation) :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재생중계, 복호화 및 여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펄스 부호 변조 방식으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인 펄스 부호로 변경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아날로그 데이터로 되돌려서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디지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ASK(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편이 변조) : 다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을 사용하여 변조하는 방법입니다.

- FSK(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 편이 변조)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변조하는 방법입니다.

- PSK(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변조)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아날로그 신호의 위상을 사용하여 변조하는 방법입니다 .

-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 진폭-위상 편이 변조) :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법입니다. 

 

 

디지털 데이터 => 디지털 신호

- 영비복귀(NRZ : Non-Return to Zero)

- 영복귀(RZ : Return to Zero)

- 양극성 바이폴라(Bipolar)

- Biphase

- 스크램블(Scramble)

 

관련 문제

2021년 2회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 신호로 보낼 때 양자화 시키는 일반적인 기법은?
❶ PCM ② FSK
③ QPSK ④ PSK

2021년 1회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❶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를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② 단말기의 수신가능 신호에 적합한 신호를 생성하는 조직이다.
③ 복잡한 신호를 단순하게 하는 신호 조작이다.
④ 신호에 제어신호를 추가하는 조작이다.

2020년 2회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신호처리 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호화 ② 양자화
❸ 정보화 ④ 표본화

2019년 2회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 신호로 보낼 때 양자화 시키는 일반적인 기법은?
❶ PCM ② FSK
③ QPSK ④ PSK

2019년 1회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❶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를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② 단말기의 수신가능 신호에 적합한 신호를 생성하는 조직이다.
③ 복잡한 신호를 단순하게 하는 신호조작이다.
④ 신호에 제어신호를 추가하는 조작이다.

 

 

반응형
반응형

네트워크관리사 1급 / 네트워크일반 - 오류 정정 방법, 해밍 코드, ARQ

 

오류 정정 방법

-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수신측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곧 바로 정정 => 해밍코드(Hamming Code)

- BEC(Backward Error Correction) : 다시 송신측으로 재전송 요청을 하여 정정 => ARQ

 

해밍코드(Hamming Code)

- 먼저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해밍비트를 계산하여 이 값을 데이터에 추가하여 전송하고 다시 수신측에서 이 데이터를 해밍코드 방법으로 계산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합니다.

- 만약 에러가 발생했다면 그 오류가 발생된 비트를 반대되는 비트로 변환하여 오류를 정정합니다.

- Parity bit를 사용해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법으로 그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송신측과 수신측 양쪽에서 많은 계산을 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ARQ(자동 반복 요청 : Automatic Repeat reQuest)

- 송신측에서 자신이 전송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꼭 ACK신호를 받아야 전송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간주하는 방법입니다. 수신측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ACK 신호를 보내야 하고, 송신측은 ACK 신호를 기다리는 시간을 정해야 합니다. 

- Stop and Wait ARQ : 송신측에서는 전송한 데이터에 꼭 ACK 신호를 받아야만 그 다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Go-Back-N ARQ :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적용시킨 방법으로, 송신측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데이터마다 순서번호를 삽입한 후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합니다. 수신측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오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오류가 없으면 ACK 신호를 송신측으로 보내게되고, 만약 오류가 발견되면 NAK 신호를 송신측으로 보내 재전송응 요청하게 됩니다. 

송신측에서는 NAK 신호가 들어오면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부터 그 이후 데이터를 다시 전송합니다. 

 

- Selective-repeat ARQ :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해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대하여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 Adaptive ARQ :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록의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시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관련 문제

2021년 2회 전송한 프레임의 순서에 관계없이 단지 손실된 프레임만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❶ Selective-repeat ARQ
② Stop-and-wait ARQ
③ Go-back-N ARQ
④ Adaptive ARQ

2021년 1회 오류 검출 방식인 ARQ 방식 중에서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해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대하여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는 방법은?
① Stop-and-Wait ARQ
② Go-back-N ARQ
❸ Selective-repeat ARQ
④ Adaptive ARQ

2020년 2회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록의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시켜 전송하는 방식은?
❶ Adaptive ARQ ② Go-back-N ARQ
③ Select ARQ ④ Stop-and-wait ARQ

2020년 1회 ARQ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 하는 방식은?
❶ Go-Back-N ARQ
② Stop-and-Wait ARQ
③ Selective ARQ
④ Adaptive ARQ

2020년 1회 에러 검출(Error Detection)과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검사합(Checksum)
② 단일 비트 에러 정정(Single Bit Error Correction)
③ 해밍코드(Hamming Code)
④ 상승코드(Convolutional Code)

2019년 2회 전송한 프레임의 순서에 관계없이 단지 손실된 프레임만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❶ Selective-repeat ARQ
② Stop-and-wait ARQ
③ Go-back-N ARQ
④ Adaptive ARQ

2019년 1회 오류 검출 방식인 ARQ 방식 중에서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해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대하여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는 방법은?
① Stop-and-Wait ARQ ② Go-back-N ARQ
❸ Selective-repeat ARQ ④ Adaptive ARQ

반응형
반응형

네트워크관리사 1급 / 네트워크일반 -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범용적인 네트워크 통신 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만든 OSI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네트워크의 표준화에 기여하였다.

 

국제전기통합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전기 통신의 모든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꾀할 목적으로 만들었다. 

 

미국표준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의 공업 제품 표준의 통일을 위해 설립한 협회로, ASCII 코드와 SCSI를 제정하였다. 

 

 

전기전자기술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전기, 전자, 컴퓨터 등 공학 분야를 총 망라하는 세계 최대의 민간 학술 단체로써 전 세계에 수많은 기술자와 학자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LAN의 표준안인 IEEE 802 규약으로 유명하다. 

 

관련 문제

2020년 2회 국제표준화기구 중 주로 근거리 통신망(LAN)에 대한 표준화를 담당하는 곳은?
① ITU ② ISO
③ ANSI ❹ IEEE

 

 

반응형
반응형

네트워크관리사 1급 / 네트워크일반 - 에러검출 방법

 

패리티 비트 체크(Parity Bit Check)

전송되는 데이터의 한쪽 블록 끝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짝수 패리티와 홀수 패리티로 나뉘어집니다.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일한 생성 다항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검사합니다. 먼저 송신측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를 생성 다항식을 사용하여 계산한 다음, 그 값을 CFS에 삽입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전체 데이터를 동일한 생성식으로 계산하여 나머지 값이 0이면 오류가 없는 것익 나머지가 0이 아니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관련 문제

2021년 1회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검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프레임이 수신되면 수신기는 같은 제수(Generator)를 사용하여 나눗셈의 나머지를 검사한다.
❷ CRC 비트를 만들기 위해 논리합 연산을 수행한다.
③ 전체 블록 검사를 위해 메시지는 하나의 긴 이진수로 간주한다.
④ 메시지를 특정한 이진 소수에 의해 나눈 후 나머지를 송신 프레임에 첨부하여 전송한다.

 

2020년 2회 다음에서 설명하는 오류검사 방식은?
----------
문자 단위로 오류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구성 하고 있는 1의 개수가 홀수 개 또는 짝수 개수 인지에 따라 오류 여부를 검출하고, 만약 오류 비트가 짝수개가 발생하면 오류 사실을 검출하지 못한다.
----------
① 해밍 코드 ② 블록합 검사
③ 순환중복 검사     ❹ 패리티 검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