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커스쿨 ftz / 로컬 환경 구축
해커스쿨 ftz 로컬 환경을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파일들을 다운로드 합니다.
1) Vmware_Redhat_9_FTZ.zip, ftz.iso => drive.google.com/file/d/1uu_v5K1S6BDSfooo02sMrdtTpIvfTtQ7/viewdrive.google.com/uc?id=1krZs8e6QG_l_mxMI3eCY11F-lgb12HLb&export=download
2) Vmware player
3) MobaXterm or putty
VMware가 설치되었다면, Red Hat Linux.vmdk 파일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ftz.iso 파일을 로드합니다.
아래 창이 나오면 "I Copied It"을 선택합니다.
아이디: root / 패스워드: hackerschool 로 로그인합니다.
그리고 ifconfig 명령어로 eth0의 ip를 확인합니다.
이 상태에서 ssh(MobaXterm or putty)를 실행하여, 이 ip에 접속합니다.
ssh(MobaXterm or putty)를 실행하여, 이 ip에 접속하여, ID/PW를 level1 / level1로 하여 로그인되는지 확인합니다.
로그인 되었다면 이제 해커스쿨 ftz를 위한 로컬 환경은 구축되었습니다.
반응형
'WarGame > 해커스쿨 ftz'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스쿨 ftz 문제풀이 / level5 (0) | 2020.11.17 |
---|---|
해커스쿨 ftz 문제풀이 / level4 - backdoor (0) | 2020.11.14 |
해커스쿨 ftz 문제풀이 / level3 (0) | 2020.11.05 |
해커스쿨 ftz 문제풀이 / level2 (0) | 2020.11.05 |
해커스쿨 ftz 문제풀이 / level1 (0) | 2020.11.05 |